조선 시대의 신분 계급 제도는 조선 사회를 계급화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크게 양인과 천민으로 나뉘어졌으며 양인은 다시 양반, 중인, 상민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에서는 사회 신분 계급에 따라 경제 상황, 직업, 신분의 세습도 모두 달랐는데 계급별로 그들의 경제 활동과 생활이 무엇이 달랐는지 자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양인과 천민
양인 : 양반·중인·상민
- 양인은 양반·중인·상민으로 나뉘는데 이 중 양반이 가장 높은 신분으로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면 3대 동안은 신분이 세습되었으며 생산에는 관여하지 않았으며 유학자로서 지식과 소양을 쌓는 데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아무런 제약 없이 관료로 승진할 수 있었으며 고위 관료들은 통상 선조 중에 양반 가문 출신이 많았는데 승진하는데 파벌 집단의 지원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양반들은 조선 정치에 관여하는 관료이자 성리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었으며 유교의 정신을 받아 예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 이들은 양반으로서 자신들의 기득권 유지를 위해 양반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현직 향리층과 서리, 기술관, 군교, 역리들을 중인으로 격하시키고 양반의 자손이라도 첩의 소생인 경우 차별하여 중인으로 대우하였습니다.
- 양반들의 경제 활동은 녹봉, 과전과 개인 소유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토지는 노비를 시키는 지주·전호제 방식으로 경작하였습니다. 주로 고위 관직 독점한 관료층이었고 정치, 군사, 문화 등의 분야에서 권력을 행사하였습니다.
- 양반들이 보유한 토지는 통상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등 비옥한 곳에 집중되었으며 규모가 큰 농장의 형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양반들은 자신의 토지에 노비를 통해 경작을 시키기도 했지만 농장 주변에 사는 농민들에게 농사를 짓게 하고 생산량의 반을 나누어주는 형태의 소작을 시키기도 했습니다.
- 중인은 기술관이나 사무직에 종사하며 의원, 화원, 역관, 의관, 서리, 향리 등의 직무를 담당하는 관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첩에게서 얻은 자식을 말하는 서얼도 중인에 해당하였으며 이들은 보통 양반층을 보좌하는 일을 하였으며 이들도 직역을 세습하고, 같은 신분 내에서 혼인하였습니다. 이 중 의원, 역관은 과거 급제를 통해 채용되었으므로 중인 중에서도 대우가 높았습니다. 문과 응시는 금지되어 있었으며 주로 무반직에 등용되었습니다.
- 상민은 조선시대의 대부분을 백성을 말하는 보통 신분으로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농민·수공업자·상인·어민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과거에 응시할 자격은 있으나 교육의 기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으며 상민 중에서는 농민이 다수였습니다. 농민은 국가에 조세·공납·군역의 의무를 지고 있었으며 여자들은 집안일과 농사일을 하면서 옷감 짜는 일도 하였습니다. 수공업자는 관영이나 민영 수공업에 종사하며 장인세를 납부했고 상인은 국가의 통제하에 상거래에 종사하며 상인세를 납부하였고 농민보다 낮은 계층이었습니다.
천민
- 천민은 가장 낮은 신분으로 대부분은 노비였으며 국가나 양반들의 재산으로 취급되어 매매·상속·증여되었으며 부모 중 한쪽만 노비여도 자손도 노비가 되었습니다. 노비가 아닌 천민도 있었는데 이들은 굿을 하거나 미래를 점치는 무당, 소와 돼지를 잡는 백정, 줄타기 같은 묘기를 하는 광대, 노래나 춤을 추고 술 시중을 드는 기생도 이에 속했습니다.
- 대체로 짐승을 도살하거나 유흥에 동원되는 직업군이 속했으며 양인 중에도 세금을 내지못해 천민이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천민이 신분적 계급을 극복한 경우는 드물었으며 장금은 천민이었으나 한국 최초의 여의사가 되며 관직을 가지고 승진 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영조의 어머니 최 씨는 무수리 출신으로 빈의 자리에까지 올랐고 아들 영조는 조선의 제21대 왕이 됩니다.
조선 시대의 신분 계급 제도와 양인(양반, 중인, 상민)과 천민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조선 후기에 들어가며 양반을 족보 위조나 공명첩을 통해 살 수 있게 되며 양반으로서의 위치가 많이 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