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은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독립을 위한 투쟁으로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제창이 배경이 되어 유학생들과 종교 지도자들, 학생으로부터 시작한 운동이 전국적으로 커지며 농민들까지도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무력 저항 운동을 시작한 사건입니다. 조선 총독부의 강경 대응으로 많은 사상자를 낳았던 3·1운동의 배경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 과정, 유관순 열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1 운동의 배경
-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종전 후 연합국 대표들은 평화조약 체결을 위해 파리강화회의가 열리는데 미국 대통령 윌슨이 민족자결주의를 제창하며 '각 민족은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민족자결주의가 발표되자 국내 민족지도자들에게 자극이 되었고 고종 황제의 독살설과 폭력적인 식민지 지배로 인해 일제에 대한 반감이 극에 달하자 고종 황제의 국장일에 맞춰 서울에서 민족주의자, 종교 지도자들, 학생들이 연합하여 3월 1일 독립운동을 하기로 합니다.
-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은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였고 학생과 시민들은 탑골 공원에서 독립선언식을 하고 만세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3·1운동 은 전국 도시와 만주, 연해주, 미국 등 해외로 까지 확산되며 교사, 학생, 상인, 노동자층은 물론 농민들도 무력 저항운동을 전개하게 됩니다.
-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태극기만 흔들며 만세 시위를 한 평화적 시위에도 일본은 군인과 경찰을 동원하여 무력으로 탄압하며 제암리 학살 사건, 유관순의 순국 등 수많은 사람의 희생이 있었습니다.
- 일제의 탄압에도 만세 운동은 전국적으로 퍼져나가며 미국, 만주 등 해외에서도 일어났습니다. 하지만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조직적으로 확산시키지 못하며 3·1 운동이 실패하자 중심이 될 정부가 필요하다고 보고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세우게 됩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 3·1 운동 이후 일제의 통치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됩니다. 9월 11일 이승만이 임시 대통령을 맡고 임시헌법을 제정하며 내각을 개편합니다.
-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될 때까지 상하이, 항저우, 전장, 광저우 등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청사를 옮기며 독립을 위한 운동을 전개합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서울과의 연락을 담당하던 교통국과 국내외 업무 연락을 담당하는 연통제라는 비밀 연락망을 만들고 국내외 정보를 수집하고 군자금을 조달, 애국공채 발행, 국민 의연금 등의 활동을 하였습니다.
- 일본의 탄압으로 비밀 연락망이 차단되고 독립운동가들 간의 갈등이 깊어지며 임시정부 활동이 침체되었지만 김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인애국단을 조직하고 윤봉길의 의거로 중국 국민당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독립운동의 중심을 잡습니다.
유관순 열사
- 유관순은 1902년 12월 16일 충남 천안에서 태어나 선교사의 소개로 이화 학당에 재학하게 됩니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수 많은 시민들이 거리로 몰려나와 만세 시위를 벌입니다.
- 유관순도 이에 동참하기 위해 태극기를 만들고 4월 1일 아우내 장터의 장날 시민들에게 태극기를 나눠주고 '우리 같이 나라를 되찾읍시다.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에 나섭니다.
- 일본 경찰은 총을 난사하고 탄압하였고 유관순의 부모가 사망하고 유관순은 주동자로 몰려 체포됩니다. 유관순은 체포 후 고문을 받으면서도 일제의 침략을 규탄하며 항의하였고 3년 형을 선고 받고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되어 19세의 나이에 죽음을 맞이합니다.
- 유관순 열사는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자로서 현재 우리 국민들의 영웅으로 남아있습니다.
3·1운동의 배경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계기가 되었고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확고히 하였습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될 때까지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는 꺾이지 않았습니다. 3·1운동의 배경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 과정, 유관순 열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